[와이즈인컴퍼니 : 스터디 스토리] 제11호 : Process Macro Model 11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5. 11. 6.
[와이즈인컴퍼니 : 스터디 스토리] 제11호 : Process Macro Model 11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터디 스토리
2025년 11월 1주차
Process Macro model 11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혜는 경험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와이즈인컴퍼니에선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자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는 자료를 주기적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받으시는 여러분의 업무와 연구에 지혜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더 많은 솔루션을 원하신다면 와이즈인컴퍼니에 메일회신 또는 연락부탁드립니다.
💡 오늘은 어떤걸 공부할거야?
오늘도 프로세스 매크로(PROCESS macro) 모델 11번을 알아볼 거예요. 삼원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매개모형 구조로,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를 거쳐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조절변수(W, Z)가 동시에 작용하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 모델 3번과 모델 4번이 떠오르는 모델이야!
맞아요! 모델 11번은 단순 매개모형(모델 4번)에서 조절된 조절모형(모델 3번)의 구조를 결합한 형태로,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에 미치는 영향이 두 개의 조절변수(W, Z) 및 이들의 상호작용(삼원상호작용: X×W×Z)에 의해 조절되는 구조에요.
삼원상호작용(three-way interaction)이란, 단순히 각각의 조절변수가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두 조절변수(W, Z)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독립변수(X)→매개변수(M) 경로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요. 즉, 모델 11번은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에 미치는 효과가 조절변수(W)의 값에 따라 달라지고, 이 조절변수(W)의 조절효과가 또 다른 조절변수(Z)의 값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조절효과(moderated moderation)'가 나타나는 모델이에요. 이 내용은 모델 3번에서도 알려드렸던 내용이에요!
따라서 Model 11은 종종 조절된 조절된 매개모형(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model)이라고도 불려요.이 모형을 통해 연구자는 조건부 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가 조절변수인 W와 Z의 다양한 조합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어요.
[PROCESS macro 모델 11번]
📍 연구모형을 설정하기 전에, 적절한 이론적 논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 명심하세요.
📣 같이 분석해보자!
첫 번째로 모델 넘버(Model number)를 11로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를 차례대로 투입하면 모델 설정은 끝이에요!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필요한 옵션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Process Macro 분석창]
분석이 끝나면 출력되는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그러면 이제 같이 분석 결과를 해석해 볼까요? 😀
[분석 결과]
분석 결과,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변수 W와 Z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으며, 특히 X*W*Z의 삼원 상호작용 항이 B = 0.065, p <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어요. 독립변수(X) → 매개변수(M) 경로에서 복합적인 조절 효과가 존재함을 의미해요.
다음으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했어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독립변수의 간접효과 크기나 방향이 조절변수 수준에 따라 변하게 되며 이것을 조건부 간접효과라고 해요.
조건부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조절변수 W와 Z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를 거쳐 종속변수(Y)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점차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어요. 두 조절 변수의 값이 커질수록 매개변수가 독립 변수(X)와 종속변수(Y)를 매개하는 정도가 더 약화한다는 의미에요.
마지막으로,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의 지수(Index of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는 0.031로, 신뢰구간(LLCI = 0.019, ULCI = 0.045)이 0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 모형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 이번 소식도 재미있으셨나요?
오늘 소개해 드린 Model 11은 삼원 상호작용이 포함된 조절된 매개모형으로,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에 미치는 영향이 두 조절변수(W와 Z)에 의해 복합적으로 조절되는 구조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이처럼 삼원 상호작용과 관련된 또 다른 흥미로운 모형을 소개해 드릴 예정이에요. 어떤 모델일지 궁금하시다면, 다음 스터디 스토리도 기대해 주세요.